저는 포스팅 당시 계좌개설 20일 제한으로 눈팅만 하고 있다가 다음 날 바로 계좌를 개설해서 KDBdream을 10개 가입했습니다. 당시엔 KDBdream 자유적금이 KDB Hi 자유적금보다 금리가 높았고, 때 마침 4.77%에서 4.81% 소폭 증가해서 부랴부랴 개설했는데, 10월 첫 영업일인 오늘!! 5%를 뚫고 상한가(?)를 쳐버렸습니다.
KDB Hi 자유적금이 5.2%로 대폭 상승하는 바람에 저는 또다시 적금통장 10개를 개설했습니다ㅋㅋㅋㅋ..앞으로 또 어떤 변화가 있을지 모르지만, 또 개설하면 되죠 뭐~그럼 KDB Hi 자유적금 개설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KDB산업은행 자유적금(KDB Hi 자유적금)
by. 시율빠빠
목차
스마트KDB 산업은행 계좌 개설
적금은 해당 은행의 금융상품이기 때문에 KDB Hi 자유적금을 가입하기 위해서 산업은행계좌를 비대면으로 개설해줍니다.➊스마트KDB앱을 설치 후 ➋KDB Hi 비대면 입출금통장을 개설합니다.
계좌 개설이 완료되면 ➌적금 만들 개수 x 1만 원을 입금해줍니다.
KDB Hi 자유적금 개설
KDB Hi 비대면 입출금통장에 입금이 완료되면 이제 KDB Hi 자유적금을 개설하면 됩니다.
➊금융상품 > 예금 > 예금신규 > 목돈모으기 > KDB Hi 자유적금 선택
일주일 전만 하더라도 4.61% 였는데, 정말이지 활어도 아니고 적금상품이 싯가입니다.
기본이율 5.10%에서 KDB Hi 입출금통장 자동이체 0.1% 추가로 최대 5.20%입니다.
➋적금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상품설명서 및 약관동의 그리고 설명 의무 확인서를 체크해줍니다.
➌가입금액은 최소 1만 원 이상이라서 계좌 유지용 1만 원 입력해줍니다.
➍가입기간은 3년, ➎자동이체 신청(우대이율 0.1%) 등 입맛에 맞게 작성하면 됩니다.
저는 매달 1만 원씩 입금할 예정이라 월급날 이체주기 1개월로 20일 지정했지만, 단순 계좌 유지용으로 만드셨으면 이체주기를 1개월 이상으로 6개월 등으로 변경해주면 됩니다.